식약처 6100곳 성수식품 합동점검 결과 공개!
설 명절 성수식품 안전 관리 방안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설 명절이 다가오는 만큼, 국민이 안전한 식품을 구매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전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6일부터 10일까지 총 17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성수식품의 위생 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하고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점검은 설 명절에 특히 많이 소비되는 한과, 약과, 떡, 만두와 같은 전통 먹거리부터 시작하여, 청주, 홍삼 같은 건강기능식품과 포장육 등의 축산물까지 다양하게 포함됩니다. 이러한 조치는 안전한 먹거리를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점검 대상 및 내용
이번 점검 속에는 12500여 개업체와 함께 약 6100여 곳의 식품 제조 및 판매업체가 포함됩니다. 점검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중요 사항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주요 체크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무등록 제조업체 점검 및 냉장 온도 기준 준수 여부. 이 외에도 소비기한 경과 제품의 사용 여부, 식품접객업체의 건강진단 실시 여부, 작업장 내 청결 상태가 주된 검사 항목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무등록 제조 및 판매 여부 확인
- 소비기한 경과 제품 사용 및 판매 여부
- 냉장 및 냉동 온도 기준 준수 여부
유통 및 통관 검사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유통 단계 및 통관 단계에서의 검사도 대폭 강화할 계획입니다. 유통 중인 식품에 대해서는 한과, 떡, 사과 및 굴비 등 농·수산물, 포장육, 건강기능식품 등 1930여 건이 수거되어 잔류농약, 중금속, 식중독균에 대한 집중 검사가 진행됩니다. 이는 소비자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로, 통관 단계에서는 가공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하여 정밀검사가 실시됩니다.
온라인 부당광고 모니터링
명절을 앞두고 온라인 구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부당광고를 통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온라인 게시물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됩니다. 주요 점검 내용에는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과장 광고가 포함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잘못된 정보에 속지 않도록 하고, 부적법한 광고는 즉각적으로 차단할 계획입니다.
위반 업체 및 조치 사항
적발된 업체 수 | 행정처분 건수 | 부적합 제품 수거 건수 |
122곳 | 60건 | 284건 |
이번 점검 결과, 위반 업체에게는 행정처분이 내려지게 되며, 부적합 제품은 신속히 회수 및 폐기 처리될 예정입니다. 수입식품의 경우는 통관 시 수출국 반송 또는 폐기 조치가 이루어져, 소비자가 안전하게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향후 계획 및 지속적인 안전 관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앞으로도 특정 명절에 소비가 증가하는 식품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을 실시해 나갈 계획입니다. 안전한 먹거리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입니다. 위반 사항에 대해서는 엄정한 조치를 취해 소비자들이 믿고 구매할 수 있는 식품 시장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이번 조치를 통해 국민들이 보다 안전한 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작년 점검 결과 및 성과
작년 설 명절에는 성수식품 합동점검을 실시하여 총 5436곳 중 122곳(2.2%)의 위반 업체를 적발하였으며, 온라인 게시물 부당광고 모니터링에서도 284건 가운데 60건(21.1%)을 적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해당 업체들에 대한 행정처분 요청 및 조치가 이루어진 바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공정한 유통 환경 조성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문의 정보
설 명절 성수식품에 대한 안전 점검 및 관련 문의 사항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안전정책국 식품관리총괄과(043-719-2084)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이번 점검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이번 점검의 주요 내용은 무등록 제조·판매, 소비기한 경과 제품 사용·판매, 건강진단 실시, 냉장·냉동 온도 기준 준수, 작업장 내 위생관리 상태 준수 여부 등입니다.
질문 2. 어떤 제품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나요?
국내 유통 식품 중 한과, 떡, 사과·굴비 등 농·수산물, 포장육, 건강기능식품 등 1930여 건에 대해 잔류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등을 검사합니다. 또한 수입식품에 대해서도 정밀검사가 실시됩니다.
질문 3. 온라인 부당광고는 어떻게 모니터링하나요?
온라인 부당광고에 대해서는 질병 예방·치료에 효능·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 거짓·과장·소비자 기만 광고 등을 중점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위반 사항이 발견되면 행정처분 등을 시행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