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눈 예보…5㎝ 적설 제설 비상근무 시작!
서울시의 제설 비상근무 1단계 발령
서울시는 20일 오후 6시부터 제설 비상근무 1단계에 돌입했습니다. 이는 21일 새벽 0시부터 예보된 1∼5㎝의 많은 눈을 대비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제설 차량과 장비가 전진 배치되어 강설에 대비하고 있으며, 사전 예방 조치를 통해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합니다.
강설 예측 및 초기 대응
서울시는 강설 징후를 사전 포착하기 위해 폐쇄회로(CC)TV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제설 초기 대응을 위해 인력 5295명과 제설 장비 1116대를 출장시킬 예정이며, 눈이 내리기 전 제설제를 살포하여 시민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신속한 초동 대응은 특히 중요한데, 이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 제설 차량과 장비 전진 배치 계획
- 제로에 가까운 날씨에서의 안전 대책
- 주민 참여를 통한 주민 안전 강화
설치된 CCTV를 통한 감시 체계
서해 지역에 설치된 CCTV는 강설 이동 경로를 실시간 감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이 상황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강설 징후를 빠르게 파악한 후 즉각적으로 제설 장비와 인력을 동원하여 시민의 안전을 도모할 것입니다.
시민의 참여 유도
서울시는 시민들이 내 집 앞과 내 점포 앞의 눈을 치우는 데 동참해주길 요청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노력과 함께 시민의 참여가 이루어질 때 더욱 효과적인 제설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골목길과 급경사지에 비치된 제설함에는 제설제와 장비를 보충해 시민이 쉽게 사용하도록 하였습니다.
주요 안전 수칙
안전 수칙 | 안전 조치 | 비고 |
2차로 및 주요 간선도로 | 주행 속도 감소 | 결빙 주의 |
골목길 및 주택가 | 안전거리 확보 | 낙상 주의 |
눈이 내릴 때에는 미끄러움 사고의 위험이 크므로 차량 운행 시 주의를 요구합니다. 서울시는 안전을 위해 개인 차량 운행 자제를 권장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적극 권장합니다. 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김성보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의 당부
김성보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온이 낮은 상태에서 눈이 쌓이면 도로 결빙이 우려되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서울시는 시민의 안전을 위해 모든 방안을 동원할 것입니다.
매우 중요한 시민의 역할
시민이 간단한 행동으로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제설작업에 동참하여 눈을 치우면 주변 이웃과 함께 안전한 길을 통해 통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여 안전한 주민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시민 안전 중심의 대응체계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한 시민과 정부의 협력은 필수적입니다. 서울시는 모든 자원을 동원하여 시민의 편안함과 안전을 보장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상황에 맞춰 신속하게 대응하겠습니다. 이번 겨울철에도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서울시의 대응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새벽 비상근무 1단계 숏텐츠
질문 1. 서울시는 어떤 제설 비상근무를 시행했나요?
서울시는 20일 오후 6시부터 제설 비상근무 1단계에 돌입하였습니다. 21일 새벽 0시부터 1∼5㎝의 많은 눈이 예보되어 제설 차량과 장비를 전진 배치하여 강설에 대비할 계획입니다.
질문 2. 서울시는 강설에 어떻게 대비하고 있나요?
서울시는 인력 5295명과 제설 장비 1116대를 투입하고, 제설제를 살포하는 등 신속한 초동 대응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CCTV를 통해 강설 징후를 사전 포착하고 있습니다.
질문 3. 시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서울시는 시민들에게 내 집 앞, 내 점포 앞의 눈을 치우는 데 동참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골목길과 급경사지에 비치된 제설제를 미리 보충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