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 가격 인상 최소화 농식품부가 강조하는 이유는?
Last Updated :
농식품부, 올해 원유가격 인상 최대 26원 가능성과 관련하여 설명
올해 원유가격 협상범위는 생산비 상승분(44원/ℓ)의 0~60%(0~26원/ℓ)인 것은 사실이나, 정부는 엄중한 물가 상황 등을 감안하여 생산자, 유업체 협력을 통해 원유 기본가격 인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중재할 계획입니다. 원유가격 조정 협상에는 다양한 변수가 영향을 미치며, 2023년 통계청 생산비 발표에 따르면 축산 품목 중 유일하게 젖소 농가의 수익성이 개선된 반면, 유업체는 음용유 소비 감소로 경영 부담이 가중된 상황이므로 올해 원유가격이 반드시 인상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원유 구매 물량 감소와 우유가격 책정의 별개 문제
| 원유 구매 물량 감소 | 우유가격 책정 |
| 내용 | 내용 |
| 내용 | 내용 |
| 내용 | 내용 |
원유 구매량 결정과 원유가격은 농가가 받는 대금과 유업체가 지급하는 원유대금에 영향을 미치므로, 두 가지 문제는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음용유 공급 과잉 상황과 관련된 내년 음용유 물량 감축 계획
현재 음용유는 공급 과잉 상태로, 내년부터 적용될 음용유 물량은 과잉량(91,122톤)의 10~30%(9,112~27,337톤) 범위내에서 협상을 통해 감축될 예정입니다.
문의 및 자료출처 안내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관실 축산경영과(044-201-2340)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원유 가격 인상 최소화 농식품부가 강조하는 이유는? | 제이한나 : https://jhannahnail.com/81